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복합통증증후군 (CRPS) 증상, 2가지 유형, 원인, 진단, 치료, 예후

by 여기바로여기 2023. 7. 29.

연예인 신동욱은 인기를 얻기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발병해서 한동안 티비에 얼굴을 비추지 못했습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통증자체가 질병으로 치료방법이 증상완화 수준이고 완치되는 비율도 적어서 겪게되면 우울증도 생길 수 있는 병입니다 자율신경계가 올바르게 기능하지 않아 심박수 증가, 혈관 수축, 혈압상승과 같은 신체 기능이 조절되기 어렵습니다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신경 손상, 외상, 수술, 심혈관질환, 감염, 방사선치료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집니다 이런 어려움이 생기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대해서 증상, 2가지 유형, 원인, 진단, 치료, 예후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두었으니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잠깐! 복합통증증후군의 치료법과 예후를 보고 싶으시면? 아래 화살표를 눌러주세요!

복합통증증후군

 

증상

CRPS는 서서히 발병할 수 있으며, 주로 팔, 다리, 손, 발 등 사지에 나타납니다. 통증은 자발적으로 발생하며 화끈거리고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통각과민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감각과민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부색 변화,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운동범위의 제한, 근력의 약화, 떨림, 경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합통증증후군

2가지 유형

질환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제1형(CRPS type) 또는 반사성교감신경이영양증
(Reflex sympathetic Dystrophy:RSD)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제2형
(CRPS type Ill)
또는 작열통(Causaga)

신경손상

직접적인 신경손상은 없음 말초신경이 손상됨
특징 유해한 손상이나 사고 후에 국소통증,
감각변화, 무해자극통증, 통각과민,
체온의 비대칭 발한 이상, 피부색 이상, 부종등이 나타남
총상이나 교통사고, 자상. 열상 등으로
인한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나타나는 증상과 징후는 제 1형과 같음

원인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원인은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반응하는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원인과 발병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유발 인자로는 외상, 환지통, 수술, 감염, 화상 등이 있으며, 일부 환자의 경우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

CRPS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조사하고 임상검사를 통해 확인합니다 방사선 검사, 삼상골스캔, 근전도-신경전도속도검사, 반복신경자극검사, 순목검사, 침근전도검사, 자기공명영상(MRI), 적외선 체열 진단검사(DITI), 정량적 감각기능 검사(QST), 정량적 발한 축삭검사(QSART) 등과 같은 정밀검사를 종합하여 진단에 활용합니다

복합통증증후군

LIST